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55 NullReferenceException: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 어떤 변수에 값이 들어가지 않아 코드가 돌아가는중 오류가 난것이며, 초보때 흔히 하는 실수로는 Ex) public GameObject Player; 라고 써놓고 연결을 안하는 것이다 자신이 아닐지 생각해보자 이런 상황이 생기면 저 오류가 뜰 수 있다. 꼭 public이 아니더라도 그냥 GameObejct player; 만하고 등호로 오브젝트를 넣어주지 않았을때도 생길 수 있다. 고치면 GameObject player = ......; 이 될 수 있다. 유니티 협력 글(어필리에이트) 유니티 플러스 구매하기 유니티 프로 구매하기 유니티에게 유니티 배우기 (유료 강좌) 이상으로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끝. 게임 개발/유니티 2022. 7. 14. 유니티 인스펙터에서 드래그로 값을 설정하기, 슬라이더 만들기 [Range(A, B)] public, private로 인스펙터에 노출될지 말지 결정할수있지만, 드래그로 쉽게 수를 오르락 내리락하며 정하고싶을때는 [Range(0, 5)] public int Type; 이렇게 대괄호안에 Range(최소값, 최댓값) 으로 써고 그 밑에 원래 쓰던대로 public 타입의 변수를 생성하면 우리가 원하는대로 드래그하여 값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영상은 유니티 인스펙터에서 실행되는 모습이다. 이처럼 게임을 만들때 조금더 자유롭게 값을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좀더 있어보이고 싶거나 다른사람이 이 게임을 만질때 허용가능한 값의 범위를 조절하고 싶다면 이 기능을 쓰는것도 좋아보인다.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끝. 게임 개발/유니티 2022. 7. 14. 유니티 가속도를 제한하는 방법 오늘은 유니티에서 가속도를 제한하는 코드를 살펴보겠다. if(Mathf.Abs(rigid.velocity.x) > 5) { rigid.velocity = new Vector2(Mathf.Sign(rigid.velocity.x) * 5, rigid.velocity.y); } 필자가 만든 코드는 이러한데, 본격적으로 설명 해보겠다. Mathf.Abs 는 절댓값을 구하는 함수이다. 그러므로 rigid.velocity.x(양옆으로 이동하는것에대한 가속도값)이 음수가되든 양수가 되든 다 양수로 묶어서 5 이상이면 이라는 조건을 써 넣었다 if(Mathf.Abs(rigid.velocity.x) > 5) // 가속도가 5 이상이라면 rigid.velocity = new Vector2(Mathf.Sign(rigid.v.. 게임 개발/C# 2022. 7. 9. 이전 1 ··· 19 20 21 22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