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게임에 대한 생각

UniCoti(유니코티) 2025. 2. 19.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라는 말에 나는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이상적인 게임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나는 한 사람의 꿈은 인생을 바쳐서라도 완수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목표라고 생각한다. 당신이 얼마나 거대한

목표를 지녔든, 그걸 위해 인생을 바칠 각오가 되어있다면 난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80년의 기간을 한 주제에만 몰두한다면 한 인간의 짧은 인생은 거대한 파장이 될 수 있다. 핵폭탄은 아인슈타인이

E=mc^2이라는 식을 발견한 이후에 등장했다. 즉, 에너지와 질량은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은 10년만 공부했더라도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던 사실이었고 50년 동안 중성자의 연쇄반응이라는 아이디어만 떠올릴 수 있었어도 남은 20년 안에

구현이 반드시 가능했을 것이다.

 

난 그 정도로 한 인간의 꿈을 높게 평가하는 편이다. 나의 꿈은 왜 이상적인 게임을 만드는 것인가?

이 생각은 젤다의 전설이라는 게임을 플레이하며 생겨났다. 이전의 나는 영화라는 매체를 좋아했었다.

2시간 정도만 투자하면 꽤 괜찮은 감동을 느낄 수 있었다. 마블 영화도 좋아했는데, 현실에서 막

따라 해보기도 할 정도로 몰입을 잘했었다.

 

하지만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을 하면서 300시간이 넘게 돌아다니고 게임 세계에 몰입하고

결국 엔딩을 보면서 소설과 영화는 절대 따라올 수 없을 감동을 느꼈다. 이때 게임이 가진 힘을

진심으로 믿게 되었고 게임은 분명 과소평가당한 예술이라고 생각했다.

 

스토리를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같은 완성도라는 조건 아래 게임의 고점을 능가할 매체가 존재하는가?

대중적으로 많이 즐기는 매체는 노래, 소설, 영화 등이다. 영화는 소리 + 텍스트 + 비디오, 소설은 텍스트,

노래는 소리 + 텍스트이다. 이들은 절대 "상호작용"이라는 특징을 가질 수 없으며 게임은 이 모든 걸 포함한다.

 

게임은 거의 모든 감각들을 가졌다. 소리, 텍스트, 비디오, 컨트롤러의 발달은 현실에서의 행동도 가능하게 했으며

상호작용이라는 요소는 남의 이야기를 시청하는 것이 아닌 내가 주인공이 될 수 있게 해 줬다.

 

게임은 절대 열등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사회는 게임을 그저 악으로만 보고 있다. 게임의 종류로는

온라인 게임밖에 모르면서도 모든 예술성은 무시하고 몰입이 잘 된다는 이유로 일상생활을 저해한다는 

프레임을 씌우고 있다. 몰입이 잘 되는 게 대체 왜 단점인가? 게임을 예술의 관점으로 본다면 이건 게임이

우등하다는 증거 그 자체이다.

 

이건 현시점 인류가 가진 모든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는 매체 중에 게임의 고점이 가장 높다는 반증이다.

내 꿈은 여기서 시작된다. 만약 이상에 가까운 게임을 개발하기만 한다면 게임의 예술성은 대중에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왜? 게임이라는 매체의 특징은 고점이 가장 높다는 것이니까.

 

난 이상적인 게임을 만들어서 잘못된 사회의 인식을 고치고 다른 매체로는 영원히 느끼지 못할,

상호작용성과 압도적인 몰입 시간 끝에 엔딩으로 향하는 인류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의 울림을

느끼게 해줘야 한다.

 

모두가 칭찬하고, 게임이 감동을 줄 수 있는 매체라는 것을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플레이만으로

사회의 인식을 점차 바꿔나갈 게임을 만들어야 한다. 그로써 미래에는 게임은 좋은 예술 매체가 되고

인류는 원할 때 조금 더 쉽고 깊게 감동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현재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열심히 배우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학업을, 머릿속으로는 코딩을, 마음속으로는 시나리오를 그린다.

AI의 발전은 이상적인 게임에 다가가도록 도와줄 것이다. 한 사람이 인생을 바친다는 각오가 있다면,

내가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꽤 클지도 모른다.

 

난 언젠가 반드시 이루고 싶다. 컨트롤러가 발전해서 마치 현실처럼 조작하고, VR로 전방향으로 시야를 보며,

AI를 통해 npc와 진정으로 대화하면서, 몇십-몇백 시간 동안 직접 싸운 끝에 얻는 감동을 보여주고 싶다.

그 때면 게임의 예술성은 비로소 인정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