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UI2 Unreal Engine 5) UI 만들고 적용하는 방법 유니티의 경우 Canvas라는 오브젝트를 만들어서 거기에다가 여러 가지 UI를 넣어렌더링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언리얼 엔진의 경우 조금 더 복잡한 방식을 선택했다.이후로 설명할 내용이지만 거시적으로 설명하자면 Canvas 파일이 따로 있고,파일 내부에서 UI를 디자인한 후 특별히 메서드를 사용해서 렌더링 하는 방식이다.1. Widget Blueprint앞서 말한 Canvas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이 파일 내부에서 디자인을 한 다음, 이 파일을 렌더링 해달라고 요청하면 된다.[Ctrl + Space]를 눌러서 Content Browser를 열고, 빈 곳을 우클릭한 다음, [User Interface] -> [Widget Blueprint]를 눌러주면 생성된다. 그러면 이렇게 새로운 창이 뜨는데.. 게임 개발/Unreal Engine 5 2024. 8. 9. Unreal Engine 5) 유니티와 비교한 에디터 UI 용어 정리 1. Viewport (뷰포트) : 유니티의 씬과 게임이 합쳐진 그 중간 어딘가의 게임 화면창. 2. Outliner (아웃라이너) : 유니티의 하이어라키 창과 기능은 같지만, 구조가 살짝 다름. 3. Details (디테일) : 유니티의 익스펙터창과 동일하며, 그 물체의 설정, 정보들을 보여줌. 4. 모드 선택 창 : 다양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음. (유니티의 여러 가지 탭 여는 버튼의 집합?) 5. 오브젝트 추가 버튼 : 유니티의 하이어라키 근처의 + 버튼과 비슷함. 6. 시작, 멈춤 등 게임 플레이에 관한 버튼들. (유니티의 시작버튼과 동일) 7. Content Drawer(Content Browser) : 에셋을 보관하며 유니티의 프로젝트 창과 같음.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끝. 게임 개발/Unreal Engine 5 2023. 3.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