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말하자면, 언리얼 엔진에서의 StaticMesh는 유니티의 Prefab과 유사하다.
부품으로 쓰고 싶은 오브젝트를 파일로써 남기는 방법이며, 오브젝트(액터)를
선택한 이후 상단의 Actor -> Convert to Static Mesh를 누르면 저장된다.
유니티처럼 Content Browser로 드래그, 드롭한다고 해서 생기지는 않는 모습이다.
마찬가지로 기능은 뭐 복제하고 싶은 오브젝트를 부품처럼 저장하거나,
아이템 상자처럼 같은 액터가 여러 번 반복되어 출현할 때 사용하면 된다.
또한 그렇게 여러 복제된 액처는 Static Mesh의 변경으로 한 번에
적용시켜 줄 수 있어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유니티를 배웠다면 그냥 Prefab으로 이해하면 편할 것 같다.
이상으로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끝.
'게임 개발 > Unreal Engine 5'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Engine 5) Sequence에 대하여. (0) | 2025.04.06 |
---|---|
Unreal Engine 5) 머티리얼 타일링하는 방법 (0) | 2025.04.06 |
Unreal Engine 5) UI 만들고 적용하는 방법 (0) | 2024.08.09 |
Unreal Engine 5) (Level) 블루프린트 사용 방법. (4) | 2024.01.24 |
Unreal Engine 5) Snap, 좌표계 전환법 (0) | 2023.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