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지수함수2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 - 오일러 (항)등식의 가장 간단한 증명(유도). 이번 글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으로 불리고 있는 오일러 등식, 오일러 항등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테일러 공식을 활용한 유도는 볼 수 있었는데 그걸 하려면 복소 삼각함수 개념을 이해해야 하고, 복소 삼각함수를 이해하려면 또 오일러 공식 (오일러 등식의 뿌리)가 나오기 때문에 이게 원리적으로 맞는 건가? 싶고, 또한 내 기준으로는 더 어렵다고 느끼기도 해서 테일러급수와 수열을 토대로 한 새로운 공식 유도를 해보도록 하겠다. 1. 방법론 가장 먼저, 오일러 등식과 오일러 공식에 대해 구분해줘야 한다. 이건 오일러 공식이다. "공식"이기에 대입할 수 있는 x의 값이 존재한다. 반면, 이건 오일러 등식이다. 원래의 식과 조금 달라 보일 수 있으나 계산하면 우리가 아는 식이 나.. 수학 2024. 3. 20. 자연상수 e. (유래, 계산법, 활용) 이번 글은 자연상수 e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먼저 e는 2.7182818... 정도의 값을 가진 상수로, "Euler's Number"의 약자인데오일러가 이 상수를 의미 있는 숫자로 인식하고 출판한 서적에도 적어놓는 등대중화시켰기 때문에 이렇게 줄여졌다. 참고로 가장 먼저 이 수를 발견한 사람은 "베르누이"이다.1. 유래와 의의앞서 이 수를 가장 먼저 발견한 사람이 "베르누이"라고 했는데,베리누이는 이 개연성 없는 수를 어떻게 발견하게 되었을까?그는 은행에 예금을 했을 때 이자를 계산하다가 이 수를 알아내게 되었다.1 - 1. 1년에 1번만약에 1년에 1번, 100%의 이자를 받는다면 어떨까?1이라는 돈을 넣으면 1년이 지난 후 100%의 이자를 받기 때문에 1+1 = 2가 된다.1->21 - 2. 1년.. 수학 2023. 10.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