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개발/Unreal Engine 5

Unreal Engine 5, Blueprint) Gate, MultiGate, Do Once, Do N

UniCoti(유니코티) 2025. 6. 9.

이 4가지 노드들은 모두 같은 기능을 한다고 보면 된다. 물론 개수와 횟수의 차이가 있으나

Gate를 적절히 활용하면 각각의 기능을 간단히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4가지 노드가 공통적으로 공유하는 기능은 한번 실행한 이후 다음의 실행을 막는 것이다.

Gate라는 이름처럼 문의 역할을 하여 한번 들어가면 성문이 닫힌다. 이를 일정 횟수의

실행 이후 그다음 실행을 막는 구조로 표현한 것이다.


1. Gate

gate

이런 구조로 생겼는데, Enter에서 실행을 시도할 이벤트를 넣으면 되고 Exit에서 실행이 된다.

Open, Close, Toggle은 성문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연결하지 않는다면 앞선 설명처럼

한번 작동하고 문이 닫힌다.

 

만약 다시 열고 싶다면 open, 다시 닫고 싶다면 close, 번갈아 하고 싶다면 toggle을 이용하면

되는 것이며 이후 3개의 노드도 이러한 구조를 변형하는 것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2. Multigate

multigate

이름처럼 gate가 여러 개 있는 구조이다. 여러 개의 gate를 한 번에 관리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gate를 여러개 배치한 것보다는 자유도가 떨어진다. 각각의 open, close를 제어가능했던 gate와 달리

전체의 reset 등만 관리가 가능하다. Loop는 각각의 gate를 처리하여 성문이 모두 닫히게 되었을 때

모두 열어주는 기능을 한다. 랜덤과 시작 인덱스는 알 것이라고 생각한다.

3. Do Once, Do N

Do Once

이건 뭐 Gate의 간소화 버전이다. 한번 실행하면 닫혀서 실행이 불가능한데,

Reset이 존재하여 다시 되돌릴 수 있다. close, toggle이 없는 gate와 같다.

Do N

이건 뭐 직관적으로 알 것 같다. Do Once와 거의 똑같은데 횟수의 차이만 존재할 뿐이다.

N에다가 원하는 반복 횟수를 넣어주면 그 횟수 이후에 성문이 닫히게 된다.

마찬가지로 Reset이 존재한다.


이상으로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