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론의 공식 유도. (세변의 길이로 넓이 구하기)
드디어 여기까지 도달했다.
필자의 블로그의 이전 글을 보면
제1 코사인 법칙,
https://alpaca-code.tistory.com/103(제1코사인 법칙 유도)
제 1 코사인 법칙.
원래 제 2 코사인 법칙 까지 한번에 해보려고 했지만 지금이 새벽 2시 30분 이라 그런지 조금 졸려서 제 1 코사인 법칙 부터 해보겠다. 결국 목표는 헤론의 공식(세변만으로 삼각형 넓이 구하기)
alpaca-code.tistory.com
제2 코사인 법칙을 다룬 것을 볼 수 있다.
https://alpaca-code.tistory.com/104(제2코사인 법칙 유도)
제 2 코사인 법칙.
전 글에서 제 1 코사인 법칙을 유도 해 보았다. 이번엔 제 2 코사인 법칙을 유도 해보겠다. https://alpaca-code.tistory.com/103(이전글-제1코사인법칙) 제 1 코사인 법칙. 원래 제 2 코사인 법칙 까지 한번에
alpaca-code.tistory.com
사실 이 모든 것은
헤론의 공식 유도를 위한 빌드업이었다.
바로 시작해보겠다.
먼저 제2 코사인 법칙을 가져와준다.
a² = b² + c² -2bc cos A
b² = c² + a² - 2ac cos B
c² = a² + b² - 2ab cos C
이런 식 세 개가 있는데,
우리는 이중 세 번째 식(c²)을 중심으로 알아보겠다.
그리고 항상 잊어선 안될 것은
우리의 기준 삼각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aes2y/btrQgMpYmrY/kWKrkFk77pZrKgLEQ5GmyK/img.png)
우리는 이런 삼각형에서 모든 것을 유도한 것이다.
잊지 않길 바라며,
시작하겠다. 우선, cos C를 좌변으로 이동시켜
cos C를 구하는 식으로 바꿔준다.
![](https://blog.kakaocdn.net/dn/uMmiB/btrQb3N50lz/bEYkvuMTgW1QCZ6rQrca11/img.png)
그럼 이렇게 나타내 줄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다른 사실을 하나 더 이용해야 한다.
sin² C + cos² C = 1
아주 중요한 Sin과 Cos의 기본 특성이다.
우리는 이 식의 cos² C에
제2 코사인 법칙으로부터 유도한
cos C를 넣고,
sin² C 가 무엇인지 알아야만 한다.
sin² C를 구하기 위해 모두 우변으로 넘기면,
sin² C = 1 - Cos² C이다.
이를 합차 공식에 의해 풀어주면,
sin² C = (1 + cos C) x (1 - cos C)
이렇게 서술할 수 있다.
위 그림으로 보면,
cos C가 (a² + b² - c²) / 2ab 이기에,
1을 2ab위로 올려주면,
![](https://blog.kakaocdn.net/dn/bYoASz/btrQb2BDPN7/zcQ1j1Zhck3acV6Cxbbg1K/img.png)
이런 식이 등장하게 된다.
여기서 a² + 2ab + b²은 (a + b) ²으로 묶을 수 있고,
-a² + 2ab -b² 은 -(a - b) ²으로 묶을 수 있기에
다시 한번 정리해주면,
![](https://blog.kakaocdn.net/dn/bq3kPO/btrQe4dRjHe/EG5kdHHEmh9nKekHRJfKAk/img.png)
이렇게 묶어 줄 수 있고,
(a + b)를 x로 치환하고 보면
x² - c²으로 또 합차 공식이 성립하기에
두 항 모두 그런 식으로 다시 정리해주면,
![](https://blog.kakaocdn.net/dn/b6Sijs/btrQepC42te/VuTWIpBHyAWkgiGA0EIU4k/img.png)
이렇게 정리된다.
이 정도면 많이 깔끔해진 게 보이는가?
이제 두 항을 곱하여 하나로 만들어준다.
![](https://blog.kakaocdn.net/dn/edhITd/btrQeVuFoEP/5McazlbNIWI8Yv9arbXdR0/img.png)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게 되었으면,
루트를 취하여
각 변의 제곱을 제거해 준다.
![](https://blog.kakaocdn.net/dn/cmhOQS/btrQe2f1mt6/2wALHKC4GYKteu1naxmGH0/img.png)
여기까지 이해했다면, 거의 다 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삼각형의 공식 중에는 밑변 x 높이 x 0.5(2분의 1)도 있지만,
삼각비를 이용하는
![](https://blog.kakaocdn.net/dn/cbFGc2/btrQfD78g62/km0KWj0Cl7GMQ7Ed2aojxk/img.png)
이런 공식도 있다.
위의 두 사진을 자세히 보다 보면,
연관성이 있지 않은가?
그렇다 우리는 사인을 구했고,
넓이 공식에 사인이 들어간다.
이걸 토대로 우리가 구한 사인을
저 넓이 공식에 적용해보면,
![](https://blog.kakaocdn.net/dn/MNYU9/btrQgGcfLrk/6po5GpW2fHkTkKFKouqY7k/img.png)
이렇게 나온다.
ab끼리 약분한 뒤, 분모끼리 곱해주면,
![](https://blog.kakaocdn.net/dn/4lMVg/btrQgdg20yV/g6VLXk6WTujw3u4Su0x0dk/img.png)
이런 식이 된다.
그렇다 우리는 세 변의 길이,
a, b, c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을
찾은 것이다.
물론 저 식도 맞지만,
인터넷에 헤론의 공식이라고 쳐보면,
![](https://blog.kakaocdn.net/dn/9EB91/btrQdArkbsi/jRW0dDnMs1NKGwxKDvnsc0/img.png)
우리가 구한 공식과는 달라 보이는
조금 더 편해 보이는 식을 발견할 수 있다.
이건 사실 S라는 미지수를 새로 만들어서
계산을 편하게 하려고
우리가 구한 식을 살짝 변형한 것일 뿐이다.
그래도 저 식이 대중화되어있으니
저것도 한번 유도해보자.
먼저 a + b + c를 2s라고 쳐보자.
![](https://blog.kakaocdn.net/dn/D4NGS/btrQe3zfDEB/f1S8XHdN2HCwAMe5CAQvhK/img.png)
그렇다면, a + b - c는 몇 s 겠는가?
그렇다. a + b + c - 2c와 같기 때문에,
2s - 2c라고 정리해줄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다른 항들도 s로 치환하면
a + b + c = 2s
a + b - c = 2s - 2c
a - b + c = 2s - 2b
-a + b + c = 2s - 2a
이렇게 정리해줄 수 있겠다.
이걸 앞선 공식에 적용해보면,
![](https://blog.kakaocdn.net/dn/bvoloW/btrQeNKbzYi/OkDM1v4g9N4Zn959LtF670/img.png)
이렇게 바꿔 줄 수 있다.
이제 각 항에서 공통 인수인 2를 빼면,
![](https://blog.kakaocdn.net/dn/c4k0hw/btrQd7JsLqu/7DVrhkDZHtPqz0YtE1kqnk/img.png)
이렇게 바꿔줄 수 있고,
2 끼리 먼저 곱해주면,
![](https://blog.kakaocdn.net/dn/dPWvHm/btrQfe8AW6I/xawSwmZtbLzzgKbmks0ou1/img.png)
이렇게 되고,
16은 4의 제곱 즉, 제곱수이기에
루트 밖으로 꺼내와 주면,
![](https://blog.kakaocdn.net/dn/E3HRT/btrQdzMLgAl/ttUERZYobxd2AFuuK3elw0/img.png)
이렇게 되고,
밑의 분수와 분자끼리 약분해주면,
![](https://blog.kakaocdn.net/dn/bb9PRA/btrQepJOJND/y2J2OEUJsJokTZkL32evv0/img.png)
여기까지 나타나게 되고,
앞서 본 공식과 동일하게 하기 위해
곱하기 기호를 생략해주면,
![](https://blog.kakaocdn.net/dn/k7kRZ/btrQfLrAxAI/RnPjEkUvIXGCza1oFiuMh0/img.png)
어디서 본 식이 나온다.
하지만 우리는 2s를 a + b + c로 치환했기 때문에,
s는 a + b + c를 2로 나눈 값인,
![](https://blog.kakaocdn.net/dn/bBbUha/btrQfJUP2UV/15xzpAX7jimVDKeKHqpkcK/img.png)
여기까지.
이렇게 헤론의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남들처럼 한 장으로 정리해보자면,
![](https://blog.kakaocdn.net/dn/epnrb5/btrQeARSkIR/fokXotuZSHSBKbYwkjCgv0/img.png)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다.
세 변의 길이만으로 넓이를 구하는 공식이 있다는
상식 밖의 내용에 감탄하여
며칠 동안 찾아봐가며 이해하였다.
수학자들은 정말 천재인 것 같다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든다.
여기까지 헤론의 공식을 유도해봤다.
이상으로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모르는 점이 있다면 댓글로 써줘도 좋다.
끝.